지난해 3378명 고독사…‘주택거주 5060 중년남성이 위험하다’

지난해 3378명 고독사…‘주택거주 5060 중년남성이 위험하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12-14 14:04
수정 2022-12-14 14: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복지부, 최근 5년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 발표
지난해 고독사 중 남성이 84.1%, 女의 4배
50~60대가 매년 고독사의 절반 이상 차지
주택>아파트>원룸 순으로 고독사 발생

‘주택에 거주하는 50~60대 중년 남성’이 성·연령·주거형태를 통틀어 고독사 위험이 가장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위험군 중심의 고독사 예방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4월부터 8개월에 걸쳐 최근 5년간 발생한 고독사 현황과 특징을 조사한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시행한 첫 조사다. ‘주변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 시간이 흐르고서 시신이 발견되는 죽음’을 고독사의 기준으로 삼았다.

지난해 이렇게 고독사한 사람은 3378명으로, 성별 미상자를 제외한 3346명 중 남성이 84.1%(2817명)다. 여성(529명)보다 4배 이상 많다. 고독사는 2017년 2412명, 2018년 3048명, 2019년 2949명, 2020년 3279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10.0%, 여성 5.6%다. 전체 사망자 중 고독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남성 1.3~1.6%, 여성 0.3~0.4%로 모든 지표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고독사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별로는 50~60대가 위험했다. 전체 고독사 중 20~30대 비중이 6.3~8.4%인 반면, 50~60대는 매년 52.8~60.1%를 차지했다. 지난해는 고독사 사망자 중 50대 남성(26.6%)과 60대 남성(25.5%)이 절반 이상(52.1%)이었다.

서울대행복연구센터와 KB금융경영연구소는 “(50~60대 남성은)건강관리와 가사 노동에 익숙치 못하고, 실직·이혼 등으로 삶의 만족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연령대”라고 평가했다.

고독사 중 자살 사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대(56.6%), 30대(40.2%), 40대(26.0%)가 컸다. 반면 50대(16.9%), 60대(10.7%)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중년 세대는 극단적 선택보다 지병 등으로 쓸쓸하게 홀로 죽음을 맞는 이들이 더 많다는 의미다. 고독사가 많이 발생한 장소는 주택, 아파트, 원룸 순으로 특히 주택에서 발생한 고독사가 매년 절반 이상(50.3~65.0%)을 차지했다. 복지부는 “고독사 위험군 발굴을 위해 다세대 주택 밀집 지역 중심의 예방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최근 5년간 고독사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3185명), 서울(2748명), 부산(1408명)이었다. 연평균 증가율이 전국 평균(8.8%)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부산·대구·인천·대전·강원·전남·경북·제주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