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테크노밸리 제2일반산업단지에 1300억원을 투입해 10만㎡ 규모의 쿠팡 물류센터 건립계획이 무산
토지 분양가와 절차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결국 완주군이 해지 공문 전달
인근 시군은 쿠팡 유치에 눈독, 경쟁 돌입

쿠팡 물류센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19일 전북도와 쿠팡(주) 등에 따르면 완주군이 지난 12일 물류센터 건설을 위한 협약 해지를 공식화했다. 지난해 3월 전북도·완주군, 쿠팡이 완주 테크노밸리 제2일반산업단지에 1300억원을 투입해 10만㎡(약 3만평) 규모의 물류센터를 짓는다는 내용의 MOU를 체결한 지 2년여 만이다.
MOU 체결 이후 두 기관은 토지 분양가와 절차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특수목적법인(SPC) 완주테크노밸리㈜는 쿠팡에 MOU 체결 당시 3.3㎡(1평)당 분양가 64만 5000원에서 30% 상승한 83만 5000원을 제시했다. 완주군 측은 산업단지 조성비가 상승하면서 분양가가 오르자 쿠팡이 투자를 철회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반면 쿠팡은 투자 철회가 신뢰의 문제라는 입장이다. 쿠팡 관계자는 “완주군이 합의된 토지 분양가보다 더 높은 가격을 요구하다가 일방적으로 일반 분양 공고를 냈고, 여러 합의 사항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완주군의 쿠팡 입주가 무산되자 인근 시군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익산시와 김제시, 정읍시, 고창군, 임실군 등이 쿠팡 유치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3개 시군에서 이미 쿠팡측에 접촉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물류단지 건설을 재개하려면 난관이 많다. 우선 쿠팡 입주를 원하는 전북 내 여러 시군 중 한 곳을 선정해야 한다. 지역이 선정되더라도 기본계획부터 다시 시작할 수밖에 없어 최소 3년 이상 입주가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시군 갈등을 최소화하고 절차 단축을 위한 전북도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전북도 관계자는 “쿠팡도 전북에 물류단지가 필요한 만큼 도내 다른 시군에 유치할 것”이라며 “관계기관 간 회의를 열고 대체 투자 여건과 접근성 등 부지 조건 등을 모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