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19일 진행된 ‘이민자와 함께하는 삶1-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강의가 끝난 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희사이버대 제공
경희사이버대학교는 본교 한국어문화학부 이민·다문화전공 및 교육혁신본부가 공동 주관한 ‘이민자와 함께하는 삶’에 대한 기획 강의 시리즈를 성료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기획 강의는 ‘이주사회의 진로 패러다임-다문화 청소년, 스스로 길을 찾다’는 강의를 시작으로, ‘이민자와 함께하는 삶1-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이민자와 함께하는 삶2-이주민 여성과의 여정’으로 이어졌다. 총 세 번의 기획 강의가 진행된 지난달 한 달 동안 경희사이버대 학생들은 다문화 청소년, 충남지역의 중도입국 아동 및 외국인 선원 그리고 경기도 지역의 이주 여성의 삶과 진로, 취업 등에 대해 생생한 이야기를 공유했다는 게 경희사이버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기획 강의 시리즈의 첫 문을 연 이주사회의 진로 패러다임은 김진선 이민·다문화전공 교수가 진행했다. 김 교수는 다문화 청소년을 둘러싼 학교와 가정 문화, 한국 사회 등의 모습을 조명하면서 학생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진로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지난달 19일 진행된 이민자와 함께하는 삶1 강의는 퇴직 전까지 해양 경찰로 근무하면서 한국인과 외국인 선원을 오랫동안 지켜본 지준경씨가 담당했다. 한국인 선장과 외국인 선원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선원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수업 외에도 한국인 선장을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 교육과 상호문화 교육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이뤄졌다.
마지막 이민자와 함께하는 삶2 특강에서는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학생들을 지도하는 방법부터 가족센터 및 대학 어학당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과정까지 폭넓은 내용을 다뤘다. 강의를 담당한 김혜경씨는 학부를 졸업하고 바로 강의할 수 있게 된 배경부터 강의 준비 방법과 노하우까지 공유하면서 이주민 대상의 강의에서 주의할 점에 대해 강조했다.
이번 기획 강의 시리즈를 기획한 서진숙 이민·다문화전공 주임교수(혁신사업단장)는 “지난해 선정된 교육부 2주기 원격대학 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상호문화 이해 능력을 올리고 이주민과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획, 운영하고 있다”면서 “이번 기획 강의 시리즈를 통해 다양한 이주민의 삶을 알고, 이주민과 함께하는 선주민의 모습에 대해서도 고민할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