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제안서 평가방식 입찰 특혜 논란 제기
익산시, 도시의 미래를 위한 것이라고 해명
전북 익산시가 최근 ‘2035 익산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수립 용역’을 발주하면서 ‘제안서 평가방식’으로 입찰을 진행하겠다고 밝히자 관련 업계가 특혜 논란을 제기하며 반발하고 있다.
익산시청사 전경
5일 익산시 등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2035 익산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수립 용역 발주 계획을 공개했다. 용역 규모는 14억 5000만원, 발주시기는 6월 중이다.
그러나 익산시가 이번 용역의 입찰을 사업수행능력평가(PQ)가 아닌 제안서 평가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어서 엔지니어링협회 등 관련 업계가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발주 기관의 입맛에 맛는 업체가 낙찰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입찰공고를 다시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업계는 그동안 유사한 입찰의 경우 대부분의 지자체가 PQ를 적용한 평가방식으로 진행했는데 유독 익산시가 전문성을 이유로 제안서 평가방식으로 진행하려는 것은 특정 업체를 의식한 것 아니냐는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제안서 평가방식은 대부분 학술용역에 많이 사용되는 입찰 방법으로 기술용역 입찰에는 잘 적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PQ 평가는 100점 만점에 정량적 평가 70점, 가격 점수 30점으로 발주기관의 개연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제안서 평가 방식은 정량(기술적)평가 배분이 20점인데 비해 정성(면접)평가 비율이 60점으로 발주처의 주관적 입장이 반영될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대해 익산시 관계자는 “그동안 도시계획 재정비 용역은 도시의 미래 발전 모습을 담아내지 못해 인구소멸시대에 적합한 장기적인 도시의 성장 계획을 반영하기 위해 제안서 평가방식으로 입찰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