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이 돌보겠지’는 옛말…“요양원 대신 집에서 늙고 싶어요”

‘자식이 돌보겠지’는 옛말…“요양원 대신 집에서 늙고 싶어요”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5-06-17 10:35
수정 2025-06-17 1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녀에게 돌봄 기대 비율 4%

이미지 확대
요양보호사 돌봄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요양보호사 돌봄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40세 이상 국민 10명 중 4명은 자녀가 아닌 요양보호사 등 전문 돌봄 인력에게 노후를 의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렇다고 요양원에 들어가고 싶은 건 아니다. 국민 10명 중 8명은 지금 살고 있는 집이나 익숙한 지역사회에서 돌봄을 받고 싶다고 응답했다.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전국 4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사회 돌봄 인식 및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령이나 질병으로 돌봄이 필요한 상황에서 기대하는 돌봄 주체로 ‘요양보호사 등 돌봄 인력’을 꼽은 응답자가 39%로 가장 많았다. ‘배우자’는 35%, ‘본인 스스로’는 21%였고, ‘자녀’라고 응답한 비율은 4%에 그쳤다.

노후에 머무르고 싶은 공간도 명확했다. ‘현재 살고 있는 집’(47%)이나 ‘돌봄받기 좋은 지역 내 주거시설’(32%) 등 전체 응답자의 79%가 집이나 지역사회 내 돌봄을 선호했다. 요양시설 입소를 선택한 응답은 7%에 불과했다.

임종 장소에 대해서도 ‘자택’(48%)이 가장 많았고, 이어 종합병원(31%), 요양병원(12%), 요양시설(7%) 순이었다. 실버타운처럼 노인 전용 단지보다는 다양한 연령이 함께 사는 주거지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59%로, ‘노인 전용’(28%)의 두 배를 넘었다. 노인들도 지역사회와의 단절보다 공존을 택하고 싶은 것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의 한 요양원에서 입소자와 가족 면회를 하다가 두손을 꼭 잡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DB
서울의 한 요양원에서 입소자와 가족 면회를 하다가 두손을 꼭 잡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DB


요양시설에 대한 인식은 긍정과 부정이 엇갈렸다. ‘친구를 사귈 수 있다’(74%),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63%)는 응답이 있었지만,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먹고 잘 수 없다’(56%), ‘억지로 약을 먹인다’(54%), ‘학대가 빈번하다’(53%)는 부정적 평가도 적지 않았다.

돌봄이 필요한 상황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서비스는 ‘건강·의료 관리’(61%)였다. 이어 ‘식사·세면 등 일상생활 도움’(55%), ‘안전 확인’(49%) 순이었다. 원하는 돌봄 형태로는 ‘가정 방문 돌봄’(71%), ‘청소·식사 등 일상생활 지원’(68%), ‘주간 보호 서비스’(52%) 등이 꼽혔다.

고독사에 대한 불안도 큰 편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58%가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고, 특히 미혼자 중 87%는 그 가능성을 더 크게 느꼈다. ‘긴급 상황에 가족 외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도 40%에 달했다.

이 같은 현실 인식 속에서 돌봄의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85%가 ‘국가’라고 답했다. 돌봄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세금 지출을 늘리는 데에도 같은 비율로 찬성했다.

김용익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 이사장은 “국민은 자신이 살던 익숙한 집과 지역에서 존엄하게 나이 들고 싶어한다”며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 설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