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주문·공연 예매 마비… 혼란 가중
경찰, 개인정보 유출 등 내사 착수

예스24 해킹사태 해결은 언제쯤?
국내 최대 규모의 인터넷서점 예스24에 대한 해킹 사태가 나흘째 이어진 12일 서울 영등포구 예스24 본사의 모습. 예스24는 지난 9일 컴퓨터 시스템이나 데이터를 암호화한 뒤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해킹을 당해 앱과 홈페이지가 먹통이 됐다. 예스24는 보안 인력 10여명을 전원 투입해 밤낮으로 복구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6.12 연합뉴스
회원 수만 2000만명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인터넷서점 ‘예스24’ 해킹 사태가 나흘째 이어지면서 소비자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예스24 앱과 홈페이지는 지난 9일 랜섬웨어 해킹으로 접속이 차단돼 책 주문과 공연 예매 등 모든 기능이 완전히 마비된 상태다. 서버 동작을 제어하는 설정 파일과 서버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 등 주요 부문이 공격당해 메인 서버에 접근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백업 서버 역시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예스24는 지난 11일 2차 입장문을 내고 “최우선적으로 공연 현장 입장 처리 시스템을 복구하고 늦어도 일요일 내에는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12일 공연 입장 처리 시스템(예매처 확인용)이 복구돼 공연 현장의 혼란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해킹범 추적부터 회원 개인정보 유출 여부까지 광범위한 내사에 착수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예스24로부터 피해 신고를 받아 관련 조사에 나선 상황이다.
이와 관련, 예스24 측은 “현재까지 개인 정보의 외부 유출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추가 조사 결과 유출이 확인될 경우 즉시 개별 통지할 것”이라고 알렸다. 해킹 이후 책 주문은 물론 공연 취소까지 잇따르면서 소셜미디어(SNS)를 중심으로 소비자들은 “이참에 폐업하라”는 말까지 쏟아내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동종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년 전 해킹으로 지금까지 몸살을 앓고 있는 인터넷서점 알라딘과 예스24와 함께 인터넷서점을 양분하고 있는 교보문고는 긴급 보안 상태 점검과 혹시 모를 해킹 사태에 대비한 보안 강화를 하는 분위기다.
2025-06-1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