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청 선정 작업 돌입
서울시교육청이 올해 11개교를 선정, 운영했던 ‘중1 진로탐색 집중학년제’ 연구학교를 내년에 100개교로 확대할 방침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시교육청은 교육부의 자유학기제와 시교육청의 중1 진로탐색 집중학년제를 연계한 2014년 연구학교 선정·운영 계획을 지난 2일 서울지역 중학교들에 보내고 최근 연구학교 선정 작업에 들어갔다.
17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 지정 연구학교는 4개교, 시교육청 지정 연구학교는 전체 서울시내 중학교 382개교 중 4분의1가량인 76~96개교를 지정한다. 시교육청 지정 연구학교는 1학년 1학기에 진로와 직업 등의 과목을 배우고 직업을 체험하는 등 진로탐색 기초학기를 운영한다. 2학기 때는 진로탐색과 동아리, 예술체육 등 자유학기제를 기반으로 학교별 자율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지필평가는 1학기 기말고사만 실시하며, 중1 성적은 고입에 반영되지 않는다.
교육부 지정 연구학교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지원을 받는다. 시교육청 지정 연구학교와 1, 2학기 순서만 바뀔 뿐 운영 내용은 같다.
하지만 연구학교를 갑자기 9배쯤 늘리는 것에 대한 반발도 나온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는 “연구학교가 구성원의 뜻을 무시한 채 운영지원금과 일부 유공교원들에 대한 승진가산점을 미끼로 추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강남 지역 모 중학교에서는 교사들의 반발로 최근 교직원 투표를 진행했다. 해당 학교의 한 교사는 “중간·기말 고사를 보지 않는 것에 대해 학부모 반발이 심했으며, 일부 교원들이 가산점을 위해 무리하게 추진해 마찰이 있었다”며 “교직원 전체 투표에 따라 결국 지원이 무산됐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다른 프로그램 연구학교와 교육복지특별지원학교 등이 연구학교로 지정되면 예산과 가산점을 부가하지만, 혁신학교는 선정되더라도 지원금이나 가산점을 부여하지 않는 점도 논란거리다. 시교육청 교육과정정책과 측은 “올해 선정한 연구학교 11개교와 주변의 비교학교 11개교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분석한 결과 연구학교의 진로성숙도가 상당부분 상승했다”며 “노력하는 교사들에 대한 지원책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3-12-1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