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정대학교 전경
경기 서정대학교가 스마트 모빌리티, 휴먼 케어, 뿌리산업 중심의 경기 북부권 산학협력 혁신생태계를 구축한다.
서정대는 최근 경기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2유형(지역클러스터 육성형)’ 수행대학으로 선정돼, 2030년 2월까지 약 70억 원의 국·도·시비를 지원받는다고 11일 밝혔다.
라이즈(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는 정부(교육부)가 대학 재정지원사업 예산 집행권을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해, 지역 특성과 발전 전략에 맞춰 대학 혁신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정대는 ‘지산학 협력을 통한 글로컬 직업교육혁신대학’을 비전으로 내걸고, 경기 북부지역산업 특성과 연계한 △스마트 모빌리티 △휴먼케어 △뿌리산업 융합형 지역혁신모델 등 총 8개의 세부 과제를 수행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라이즈 평가에서 스마트모빌리티과, 글로벌산업융합과 등 지역 수요에 특화된 학과들과 양주시 테크노밸리 및 관내 주요 기업체 간의 유기적 연계를 기반으로 한 실효성 있는 지산학 협력체계를 구축한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서정대는 사업 기간 지역 산업체의 기술 수요와 직무 역량을 반영한 실무 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공용장비 구축 및 실습 환경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양주시와의 협업을 통해 ‘테크노밸리 연계 산학거점캠퍼스’ 조성을 검토 중이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취·창업 기회를 확대하고 기업에는 우수 인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예정이다.
양영희 총장은 “RISE 사업 선정을 계기로, 대학의 교육·연구 역량이 지역사회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전 구성원이 함께 힘을 모을 것”이라며, “대학이 지역혁신의 거점이자 촉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협력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