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병오친정도(英祖丙午親政圖)는 1726년(영조 2년) 창덕궁 희정당에서 열린 영조의 친정(親政) 장면을 기록한 족자로 제작 당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친정은 매년 12월 임금이 직접 행하는 연중 가장 큰 인사행정이다. 족자는 영조 연간의 회화 양식을 보여준다는 가치를 인정받았다.
‘김희 초상 일괄(金熹 肖像 一括)’은 초상, 함, 보자기로 이루어진 일괄 유물이다. 조선시대 초상화의 가장 이른 예시로 조선 후기 서양 화법 영향을 보여주는 대표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부여 강동공일기(扶餘 江東公日記)’는 정언욱(鄭彦郁)이 1751~1787년까지 작성한 것으로, 18세기 충청지역 지방사를 비롯한 지방사족 삶과 향촌사회 생활상 등을 연구할 수 있는 사료다.
‘임천 칠산서원 책판(林川 七山書院 冊板)’은 4종 466판으로 구성됐다.
‘광주안씨 고문서(廣州安氏 古文書)’는 16∼17세기 사료 49건 49점으로 구성돼 있다.
도는 신규 지정에 이어 ‘서산 개심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와 ‘서산 개심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를 도 문화유산 지정 예고했다.
도 관계자는“미처 알려지지 않은 소중한 지역 문화유산이 발굴·보존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홍성 이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