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벼 재배 면적 12% 축소…도의회·농민단체 반발

충남 벼 재배 면적 12% 축소…도의회·농민단체 반발

이종익 기자
이종익 기자
입력 2025-02-22 10:00
수정 2025-02-22 1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만5763㏊ 감소, 테두리 휴경 등 지원
도의회 “조정제 즉각 철회하라”
농민단체 “쌀 자급 붕괴를 부채질”
이미지 확대
충남 아산시농업인단체협의회가 시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종익 기자
충남 아산시농업인단체협의회가 시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종익 기자


올해 충남의 벼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12% 줄어들 전망이다. 충남도의회와 농민단체는 정부가 농민의 어려움은 외면하고 영농권을 침해하고 있다며 즉각 철회 등을 촉구하고 있다.

22일 충남도에 따르면 쌀 공급 과잉을 해소하고 쌀값 안정을 위해 올해 전국적으로 벼 재배면적 8만㏊를 감축한다. 도내 벼 재배면적 감축 목표는 지난해 12만9786㏊의 12% 수준인 1만5763㏊다.

도는 감축 이행을 위해 △테두리 휴경(부분 휴경) 9177㏊ △타작물 전환 4846㏊ △농지 전용 891㏊ △친환경 전환 438㏊ △휴경 314㏊ △농지 이양 83㏊ △간척지 타작물 재배 14㏊ 등을 추진한다.

테두리 휴경을 이행한 마을에는 공공비축미를 추가로 배정하고, 참여 농업인에게는 도가 추진하는 농기계 지원사업 등에 우선 선정하는 등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하지만 충남도의회와 농민단체는 정부에 벼 재배면적 조정제의 즉각적 철회와 쌀값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미지 확대
충남도의회가 정부의 일률적인 벼 재배면적 조정제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도의회 제공
충남도의회가 정부의 일률적인 벼 재배면적 조정제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도의회 제공


도의회는 19일 홍기후 의원(더불어민주당·당진3)이 대표 발의한 ‘농민과 소통없는 정부의 일률적인 벼 재배면적 조정제 철회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홍 의원은 “여의도 면적 276배에 달하는 8만㏊의 벼 재배면적을 지자체별 영농 특성과 토지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감축하려 한다”며 “감축 면적을 의무적으로 배정하고, 미참여 농민과 농가에 불이익을 내걸며 사실상 참여를 종용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농민단체는 정부의 벼 재배면적 축소가 수입쌀의 안정적 판로를 보장하는 꼼수라고 비판했다.

천안시농민회 김병수 회장은 “8만㏊ 감축으로 예상하는 감축량은 의무 수입되는 40만 8700의 수입쌀 양과 같다”며 “정부가 수입쌀 문제 해결 의지 없이 전적으로 농민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농민회 등 10여 개 농업단체가 소속된 아산시농업인단체협의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농민과 합의 과정도 없이 정부가 대안도 없이 일방적으로 벼 재배면적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며 “ 정부가 식량주권 고려도 없이 쌀 자급률 붕괴를 부채질하는 농정말살 정책을 펴고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