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진 효과 79세까지만 뚜렷
80세 이상은 효과 거의 없어

한국보건의료원의 연구 결과 80대 이상에선 위암·대장암 내시경 검진의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23RF
80세 이상 고령자에게는 위암과 대장암 내시경 검진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건강 상태와 기대수명 등을 고려해, 꼭 필요한 경우에만 검진을 시행해야 한다는 지적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PACEN)은 16일, ‘위암 및 대장암 검진의 최적 연령’을 제안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모은 임상적 가치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임상적 가치 평가는 주요 연구 결과를 다각도로 검토해 국민이 합리적인 의료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절차다.
연구진은 건강보험 청구 자료(2004~2020년)와 국가암검진 자료(2009~2020년)를 분석했다. 그 결과 79세 이하에서는 위암 사망률이 43%, 대장암 발생률은 30% 감소하는 등 검진 효과가 뚜렷했다. 하지만 80세 이상에서는 이러한 예방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 국가암검진사업은 위암은 40세 이상, 대장암은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주기적 검사를 권고하고 있다. 대장암은 1~2년마다 분변잠혈검사를 시행하고, 양성일 경우 대장내시경을 권장한다. 위암 검진은 2년마다 위내시경 또는 위장조영검사를 받을 수 있다. 두 질환 모두 검진 상한 연령은 없다.
의료계는 고령층에 대한 무분별한 검진에 대해 일찌감치 우려를 제기해왔다. 관련 학회는 대장암은 81세 이상, 위암은 85세 이상에서는 암 발생률이 낮고 검진 위험이 크기 때문에 검진을 권고하지 않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런 학계 입장을 재확인하는 것으로, 특히 기저질환이 많고 기대수명이 짧은 고령층은 내시경으로 인한 출혈, 장천공 등의 위험이 더 클 수 있어, 일률적인 검진보다는 ‘개별 판단’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보건의료연구원은 “80대 이상은 건강 상태와 기대수명, 암 위험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검진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며, “의료진과 환자가 함께 판단하는 ‘공유 의사결정’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