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이틀 앞당겨 임무궤도 안착… K달탐사 시대 열었다

‘다누리’ 이틀 앞당겨 임무궤도 안착… K달탐사 시대 열었다

유용하 기자
입력 2022-12-28 21:36
수정 2022-12-29 0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韓 첫 달 탐사선 새해 본격 임무

달 상공 100㎞서 2시간 주기 공전
‘美 아르테미스’ 착륙지 등 탐색
尹 “연구자 노고 진심으로 감사”

누리호와 다누리의 도약… 토끼처럼 성큼성큼 우주로 갑니다
누리호와 다누리의 도약… 토끼처럼 성큼성큼 우주로 갑니다 지난 6월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두 번째 도전에 성공하면서 한국은 자체 기술로 중대형 엔진 발사체를 우주로 보낸 일곱 번째 국가가 됐다. 두 달 뒤 8월에 쏘아 올린 첫 달 탐사궤도선 ‘다누리’는 긴 여정을 끝내고 지난 27일 임무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가상현실(VR)카메라로 나로우주센터에 설치된 나로호, 누리호 조형물 위로 지나는 별들을 30초씩 촬영한 약 200장의 사진을 합성했더니 마치 토끼처럼 보인다. 정부는 2023년을 ‘우주경제 원년’으로 삼겠다고 했다. 토끼처럼 성큼성큼 빠르게 우주 속으로 진출하는 토끼의 해, 계묘년을 기대한다. 고흥 박지환 기자
한국의 첫 달 탐사궤도선 ‘다누리’가 2022년을 나흘 남겨두고 임무 궤도에 완벽하게 진입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 27일 ‘다누리’가 목표한 달 임무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6일 마지막 임무 궤도 진입기동을 수행한 결과 다누리는 달 상공 100㎞(±30㎞)에 진입해 초속 1.62㎞의 속도로 2시간마다 달을 공전하고 있다.

당초 항우연은 다누리를 임무 궤도에 안착시키기 위해 궤도선의 추력기를 사용해 속도를 줄이는 ‘진입기동’을 5차례 실시할 계획이었다. 그렇지만 지난 17일 1차 진입기동으로 기동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해 남은 4회 기동을 2회로 단축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그 덕분에 달 궤도 진입은 계획보다 이틀이나 앞당겨진 27일에 완료됐다.

다누리는 지난 8월 초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발사장에서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날아갔다. 이후 약 4.5개월 동안 지구와 달, 태양의 중력을 이용해 멀리 돌아서 달 궤도로 진입하는 BTL 방식으로 달을 향해 날아갔다.
이미지 확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과기정통부 업무보고에서 달 탐사궤도선 ‘다누리’가 달 목표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과기정통부 업무보고에서 달 탐사궤도선 ‘다누리’가 달 목표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임무 궤도 안착으로 다누리는 2023년 1월 한 달 동안 탑재체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초기 점검과 기능 시험을 진행한다. 특히 고해상도카메라, 섀도캠, 광시야편광카메라의 영상 품질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위성영상의 오차와 왜곡현상을 조정하는 검·보정 작업도 이때 이뤄진다.

정상 작동이 확인되면 내년 2월부터 12월까지 달의 남극과 북극 상공을 지나는 원궤도를 하루 12번씩 돌면서 6종의 탑재체를 이용한 다양한 과학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달 표면 전체 편광지도 제작, 달·지구 간 우주인터넷 통신 시험 세계 최초로 수행, 향후 한국 달착륙선이 내려앉을 후보지 탐색, 자기장 측정, 달 자원 조사 등이다. 특히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개발해 장착한 섀도캠은 유인 달 착륙 프로젝트 ‘아르테미스’를 위한 착륙 지점 탐색 임무를 맡는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에 “오랜 시간 다누리호 개발에 매진해 온 연구자분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2022-12-2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