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주영 전문기자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제도권에 편입되는 가상자산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2025 서울리더스금융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 이찬우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고승범 전 금융위원장,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장, 김성수 서울신문 사장,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김서준 해시드 대표. 뒷줄 왼쪽부터는 차명훈 코인원 대표, 이해붕 두나무(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장, 이찬우 삼성증권 부사장, 오홍주 손해보험협회 전무,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 김은조 여신금융협회전무,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 이홍구 KB증권 대표, 이재원 빗썸 대표, 김재진 디지털자산거래소협의체(DAXA) 상임부회장, 김호진 샤드랩 대표.
안주영 전문기자
안주영 전문기자
가상자산(암호화폐)을 예치해 이자(보상)를 받고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를 하는 세상. 국내 은행들은 이런 변화를 ‘위협’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기회’로 보고 있다.
조영서 KB국민은행 인공지능(AI)·디지털전환(DT)추진그룹 부행장은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서울신문이 주최한 ‘2025 서울리더스금융포럼’에 참석해 “은행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참여해 B2B(기업 간 거래) 결제와 국제 송금의 효율성을 높이는 비즈니스를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을 비롯해 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 모두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사전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 등 실물자산에 가치가 연동되도록 설계된 가상자산으로, 새 정부 들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이 탄력을 받고 있다.
‘제도권에 편입되는 가상자산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는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양종희 KB금융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이찬우 NH농협금융 회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이호성 하나은행장, 이재원 빗썸 대표, 차명훈 코인원 대표, 오세진 코빗 대표, 조영중 고팍스 대표, 김재진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닥사·DAXA) 상임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장은 축사에서 “여름이 지나면 국회에서 본격적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관련 입법이나 규율 체계 마련의 진도가 나갈 것으로 본다”며 “여러분이 발전을 위해 제시하는 아이디어의 발목을 잡지 않는 국회가 되겠다”고 했다. 김성진 금융위원회 가상자산과장은 “최근에는 카드 결제, 일반적인 상거래, AI 에이전트(비서) 등의 영역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쓰려는 시도가 있다”며 정부는 정교한 규제를 설계 중이라고 했다.
2025-06-19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